다한증(땀이 많이 나요)

날씨가 더워지면서 땀 때문에 고통스러운 분들이 많아지는 계절이다.

땀이 적당히 날 때는 몸이 상쾌해지고 신진대사도 활발해져 몸의 건강상태가 잘 유지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그러나, 땀이 너무 없거나 너무 많이 날 때는 몸에 이상이 있거나 무언가 잘못되고 있다는 신호이므로 이의 원인을 찾아 치료해야 한다.

땀에는 자한(自汗; 가만히 있어도 줄줄나는땀, 식은땀),도한(盜汗:야간에 잘 때 베게나 요가 젖을 정도로 나는땀),국소적인 땀(수족한,두한,겨드랑이 땀)등이 있다.

다한증의 그 원인으로는 개인적 체질 특이성 및 유전의 경향이 많으며, 현대의학적으로는 교감 신경(특히 흉추2,3번)의 긴장 및 과민에 의한 경우가 많다.

또한 계절성을 많이 띠며, 긴장이나 초조등 심리적 상태도 영향을 미친다.

국소적인 땀은 대인관계나 사회생활의 일정부분에 있어서 막대한 장애를 주는 경우까지 있다. 학생중에는 손에 땀이 줄줄나서 장갑을 끼고 시험을 보아야 하기도 하며, 대인관계에서 악수를 하기가 곤란할 정도로 땀이 많은 사람도 있다.

이들 땀을 한방적 관점에서 자한(自汗), 도한(盜汗), 수족한(手足汗), 두한(頭汗), 음한(陰汗)의 순서로 살펴보겠다.

자한증은 낮시간 동안에 땀이 나는 것을 가르킨다.

몸의 전체에서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줄줄나며 땀이 나면 상쾌한 것이 아니고, 몸이 무겁고 찌부둥하며 기운이 쳐진다.

인체의 기는 폐에서 다스린다. 이러한 폐의 기능이 약해지면 땀을 주관하는

피모의 작용도 약해지고 한선의 조절기능을 잃게된다. 이리하여 식은땀이 나오는 것이다.

이때는 폐의 기운을 올려주고 도와주는 약제를 주로 사용하는데 황기를 주약으로 하는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이나 청서익기탕(淸署益氣湯)을 사용한다.

황기는 민간에서도 여름철에 닭에 같이 삶아 그 물을 마시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외, 비만인에 많은 습승자한(濕勝自汗)이 있는데 이는 비만이 심해져서 땀이 많이 나는 것을 말하는데, 비만하게 되면 체중과다로 인해 심폐기능에 과부하가 걸린다. 이때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얼굴 및 상체에 땀이 많이 난다.  치료는 근본적으로 체중을 줄여야 하고, 상체의 열을 꺼주어야 한다. 조위탕(調衛湯:황금,생지황,맥문동등의 열을 끄는 약이 위주가 된 처방)에 옥병풍산(玉屛風散)을 합방한다.

도한은 밤에 땀이 나는 것을 말하는데, 어떤 경우는 벼개나 요가 흠뻑 젖어목욕한 것과 같이 되기도 한다. 병후에 쇠약할 때 많이 발생한다.

한방에서는 음허(陰虛) 한 상태에 허열이 끼는 것을 원인으로 보아서 신장기능이 허약해지거나, 혈액또는 진액이 부족한 상태에서 허열이 상충하는 것을 원인으로 본다.

‘도둑과 같이 기운을 빼앗아 간다’하여 도한이라고 이름을 부른다. 치료는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을 사용하여 진액을 보충해주고 열을 삭혀준다.

수족한은 손과 발에만 긴장 및 흥분에 의해 땀이 지나치게 많은 것을 말한다.

수족한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기혈 순환을 잘시켜야 하나 인체 전체의 평형을 잘 맞추어 주면 수족한이 치료된다.

전체진찰을 하여 그 사람의 부족한 약점을 보충해야 한다.(예: 기허,간열,복부냉증 등과 같이 진단하고 그 증상을 치료하면 수족한이 치료된다.)

두한은 머리 부위에만 땀이 집중되는 것으로 머리는 한의학에서 모든 양(陽)의 기운이 만나는 곳이 된다. 열이 머리로 몰려서 땀이 머리에만 집중적으로 나는 것이다. 열을 식히는 양격산(凉隔散)계통의 약을 사용한다.

이외 음한(陰汗) 이란 것이 있는데, 음낭이나 생식기 주변에 땀이 차는 것을 말한다.

신장의 기운이 약해지거나, 과도한 성생활로 인해 습열의 기운이 침입할 때 발생한다. 신장의 기운을 도와주는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에 지모 황백을 가한다.

위에서 말한 여러 가지의 땀은 치료를 요하는 병적인 땀이다.

이의 경우는 치료를 하여야 하나, 일반적으로 소아에게서 나는 땀이나, 운동중의 땀, 더위로 나는 땀 등은 자연적인 것이 많으므로 그리 걱정할 것은 아니다.

지나칠 때만 병이 되는 것이니 이상이 있는 듯 하면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당한 치료법이나 섭생법을 찾기를 권하며 땀으로 고생하는 분에게 여름이 조금이나마 덜 덥게 느껴 졌으면 하는 바램으로 이글을 맺는다.